본문 바로가기

Python

[Python] 리스트

리스트 : 숫자 또는 문자로 된 값을 여러 개 저장하고 있는 자료 타입

 - 대괄호 안에 값을 선언하여 생성

리스트이름 = [값1, 값2, 값3, 값4, ...]

 

 

 

  •  리스트 항목 : 서로 다른 type의 항목들이 들어갈 수 있음. 

  - 문자로 이루어진 리스트

  - 문자열로 이루어진 리스트

  - 항목들이 동일한 유형이 아닌 리스트

  - 다른 리스트를 항목으로 갖는 리스트, 리스트 안에 리스트가 들어갈 수 있음

     예) s4 = [3, 2, ['too', 'short']]

  - 항목이 하나도 없는 리스트 

     예) empty = []

 

 

 

  •  리스트 접근

  - 첨자를 사용해서 접근, 첨자는 0부터 시작 

  - 첨자 -1 은 가장 끝에 있는 것, 첨자 -2는 끝에서 두번째 있는 것. 

  - 범위접근 

     리스트 이름[시작:끝+1] -> 모든 값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     리스트 이름[첨자:] -> 리스트 이름부터 끝까지 값         

     리스트 이름[:첨자] -> 처음부터 리스트 이름까지 모든 값

 

 

 

 

 

 

  • 리스트 값의 변경

바꾸고 싶은 위치의 첨자를 이용하여 값을 바꿔줌. 
첨자 1 위치가 리스트로 변함. 
리스트의 항목들을 추가하고 싶을 때 범위를 지정해주면 됨! 

 

 

 

 

  • 리스트 삭제 : 목적에 맞게 사용해야 함. 

원하는 위치를 첨자의 범위로 이용해서 삭제해줌. 
a 라는 그릇은 살아있을 뿐, 초기화만 안된 것. 

 

defined 오류: 선언을 하지 않았을 때; a 라는 메모리 자체가 delete 된 것. 

 

 

 

 

  • 리스트 함수 

  * sort() 와 sorted ()의 차이점 : sorted()는 갱신하는데 사용하고 싶으면 다시 a에 넣어야 함. 결국 a.sort와 같음.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a.sort는 갱신까지 해줌. 

리스트 함수 사용. 

  • 리스트 연산

aa + bb 는 aa 리스트와 bb 리스트의 문자열을 이어줌. aa * 3은 3번 반복하여 갱신해줌. 

 

 

  • 리스트 항목 체크

in 이라는 예약어를 사용. in 키워드

 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Greedy] 프로그래머스_구명보트  (0) 2023.11.19
[python] input() 속도 초과  (0) 2022.03.14
[Python] 조건문  (0) 2021.01.23
[ Python] 입력함수  (0) 2021.01.22
[Python] 출력함수  (0) 2021.01.21